표현의 기술
유시민

그림: 정훈이
발행: 2016.06.08
발행처: 생각의 길
페이지: 368 pg
● Chapter 3 - 악플을 어찌할꼬?
▶ 악플 대처법
굳이 자판 두들겨 로그인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썼다는 것에 대단하구나 하고 무시한다.
'완벽하고 치열한 무플'로 대응한다.
▶ 때로는 한걸음 물러나서 다시 생각해보거나,
사람들이 받아들일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현명합니다.
▶ 논밭에 잡초가 생기는 것처럼 악플도 내가 글을 쓰지 않았다면 답글도 없다.
즉, 근원적으로 내가 만든 것이다.
● Chapter 4 - 누가 내 말을 듣는단 말인가?
▶ 누군가가 여러분의 생각을 바꾸려고 한다면 기분이 좋지 않을 수 있다.
즉, 말이 도무지 통하지 않으면 내버려 주자.
▶ 말로든 글로든 싸워서 이기려고 하지 말자.
▶ 세상을 조금이라도 더 좋게 바꾸려면
우리 자신이 날마다 조금씩이라도 덜 어리석어져야 합니다.
그래서 저는 읽고, 생각하고 토론하고, 글을 씁니다.
이 세상 어딘가에, 날마다 조금씩이라도 덜 어리석은 사람이 되려고
애쓰는 누군가가 있어서 나의 글을 읽는 것이라는 희망을 가슴에 품고 말입니다.
● Chapter 5 -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?
▶ 자기소개서 = 나는 어떤 사람이지, 스스로 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,
미래의 나를 어떻게 만들어 나가려는지 말하는 글.
1) 내가 어떤 사람이면 무엇을 할 수 있고, 어떻게 살기를 바라는지 거짓 없이 그리고 명확히 요약한다.
2) 글쓴이가 읽는 사람들 자신에게 필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써야 합니다.
읽는 사람이 다르면 자기소개서도 다르게 써야 한다.
2-1) 누구나 가져야 할 일반적 도덕을 지녔는지 살핀다. (ex) 정직, 성실, 겸손, 예의, 열정, 인내심, 지혜로움. 스스로 그런 사람이라 주장하지 말고 그런 느낌만 오게끔.
2-2) 조직에 필요한 사람인지 살핀다. [핵심]
▶ 자기소개서의 문장은 단순, 명료, 소박할수록 좋다.
▶ 조직의 채용담당들은 스펙 좋은 사람을 찾는 게 아닙니다.
그 조직의 현실과 미래를 고민하면서 조직의 생존과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을 뽑습니다.
자기소개서를 쓰다 보면 자신이 비굴해 보일 수도 있다.
하지만 누군가에게 '쓸모 있는 사람'이 된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 아닐까요?
▶ 함께,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서로서로 잘 보여야 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면,
그 우명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편이 낫다고 봅니다.
● Chapter 6 - 베스트셀러는 특별한 게 있다!
▶ 글을 쓸 때 제일 먼저 주제를 확실히 한다 →
쓸만한 가치가 있는 이야기인지 여부를 먼저 생각한다 →
관련 자료를 읽으면서 글을 구상한다 → 내용/문장을 다듬는다
▶ Best Seller
1) 문장 쓰는 기술
2) 좋은 문장으로 표현한 생각 & 감정이 좋아한다.
3) 감정이입
▶ 어떤 책이 공감받지 못하는 이유
1) 무슨 말인지 모른다. (ex) 순수 이성 비판
2) 이해는 하지만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다.
▶ 감정 이입하기 좋게 글 쓰는 능력
1) Text 자체만 읽어도 뜻을 알 수 있도록 쓴다.
2) Text를 정확하게 해석하는데 필요한 con-text를 text안에 심어준다.
(ex)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.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.
● Chapter 8 - 논문 쓰는 법
▶ 1) 주제를 명확한 형태의 질문으로 만든다.
2)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논문 주제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살펴보고
그 현황과 성과의 한계를 요약정리한다.
3) 기존 연구결과에 반박/보안/수정/극복하는데
필요한 사실/가설/이론/해석을 제시하고 서술한다.
4) 논문에 답은 연구결과의 학술적 의미와 가치를 정리한다.
▶ 표절은 허세를 부리려는 헛된 욕망의 산물이다.
● Chapter 10 - 세상에, 나도 글을 써야 한다니!
▶ One Paper 작성법
1) 목표
2) 상황
3) 원인
4) 대처 방안
5) 기대 효과 / 부작용
6) 부작용 최소화 방안
▶ 대한민국 최고의 글을 보고 배울 수 있다.
대통령 기록관 : http://www.pa.go.kr
책 : <대통령 보고서>
▶ 회의록 쓰는 능력 기르는 방법
자신이 서기라 생각하고 들으며 중요한 정보와
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려고 노력해야 한다.
'스며드는: 철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플하게 산다 [2/4] (0) | 2019.05.28 |
---|---|
심플하게 산다 [1/4] (0) | 2019.05.28 |
유시민의 "표현의 기술" [2/3] (0) | 2019.05.25 |
유시민의 "표현의 기술" [1/3] (0) | 2019.05.25 |
순진함과 순수함의 차이 (0) | 2019.04.08 |